본문 바로가기
[Linux 서버] 1. 리눅스 서버란? 이 포스팅은 리눅스 서버에 대한 기초적인 내용을 공부한 과정을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Linux 란? 리눅스는 컴퓨터의 운영체제 중 하나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특히 서버에 특화된 기능들이 많은데, 간략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안성 : 먼저 리눅스는 보안이 강화된 운영체제입니다. 많은 개발자들이 오픈소스로 개발과 유지보수를 하고 있기에, 보안적인 측면에서 취약점이 발견된다면 빠르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안정성: 리눅스는 동시에 여러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서버 다운 시간( 의도되거나 의도되지 않게 서버가 작동하지 않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을 줄입니다. 확장성: 리눅스는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여 서버에 맞게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호환성.. 2024. 3. 30.
[Git] 2. Repository란 무엇인가? 이전 포스팅에서 깃에 대한 내용을 간략하게 다뤄봤었습니다. 이제 깃으로 어떤 파일의 수정사항들을 관리하고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 건데요, 그 첫 번째 내용은 repository입니다. 관리를 하려면 프로젝트를 저장하는 공간이 필요합니다. 그 공간을 확보하기 사용되는 저장소를 repository라고 합니다. 먼저 저장소를 만들어줄 디렉터리가 필요합니다. 이미 존재하는 디렉터리에 만들어도 되고, 명령어를 이용해서 임의의 디렉터리를 만들어도 됩니다. 이번에는 mkdir명령어로 디렉터리를 만들고, cd명령어를 사용해서 폴더로 이동해 보겠습니다.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mkdir git_test cd git_test 자 이렇게 만든 디렉터리까지 잘 이동하셨습니다. 해당 디렉터리의 파일들을 관리하기 위해.. 2024. 3. 29.
[Android] [팁 계산기] 5. 나머지 레이아웃 추가 자 이제 레이아웃의 구현은 거의 다 끝났습니다. switch, Button, TextView 위젯을 사용하여 세부적인 기능들을 더 추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팁을 반올림하기 위한 Switch 추가 우선 XML을 먼저 보도록 하겠습니다. switch는 사용자가 팁 반올림 여부에 예나 아니요를 선택할 수 있게 해 줍니다. 간단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ConstraintLayout의 UI요소에 맞춰 너비를 설정하고, 뷰의 높이를 내부 콘텐츠의 높이와 같도록 해 줍니다. checked 옵션을 true로 설정하여 스위치의 기본 옵션을 on으로 설정합니다. app:layout_constraintEnd_toEndOf="parent": 해당 뷰의 오른쪽 끝을 부모 컨테이너(ConstraintLayout )의 오른쪽.. 2024. 3. 27.
[Android] [팁 계산기] 4. 팁 옵션 추가하기 이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팁 옵션에 사용할 라디오 버튼을 추가합니다. 옵션은 세 가지가 있어야 합니다. 훌륭함(20%) 좋음(18%) 괜찮음(15%) 저희가 이번에 사용할 레이아웃은 RadioGroup과 RadioButton이라는 위젯입니다. 사용하면서 방법을 익히면 되겠습니다. 추가되고 수정된 XML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리는 생성될 버튼들의 배치되는 형태(vertical,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 배치), 시작 위치를 지정해 주었습니다. 이제 RadioButton들을 이 안에 생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제 화면에 뭐가 좀 생겼네요! 기본 선택 추가 사용자가 선택하기 이전에 기본으로 선택될 팁을 지정하고, 반응하도록 해 봅시다. 이 기능은 RadioGroup의 속성인 checkedButton.. 2024. 3. 26.